잃어버린 마을은?
제주 4.3사건 진압과정 중 해안선에서 5km이상 들어간 마을을 모두 불태워 버리는 ‘초토화작전’이 있었습니다. 중산간지역의 유격대에게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명분이였지만, 이로 인해 중산간지역 사람들은 무장세력과 무관하게 엄청난 희생을 치뤄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 많은 중산간마을이 불태워졌고, 또 많은 수의 마을들은 복구되지 못하고 영원히 잃어버린 마을이 되고 말았습니다.
위치
평화로에서 동광방향으로 빠져나오면 동광육거리가 나옵니다. 이 중 S-Oil 주유소 옆길로 빠져서 1km정도 가면 있습니다.
위도 126 : 21 : 8
경도 33 : 18 : 25
무등이왓 표석
아래의 표석의 전문입니다.
여기는 4.3사건의 와중인 1948년 11월 21일 마을이 전소되어 잃어버린 남제주군 안덕면 동광리 무등이왓터이다. 약 300년 전 관의 침탈을 피해 숨어든 사람들이 화전을 일궈 살아가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된 이래 4.3당시 동광리에는 무등이왓 이외에도 삼밭구석, 사장밭, 조수궤, 간장리의 5개 자연마을이 자리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주로 조, 메밀, 보리, 콩 등을 재배했고 교육열이 높아 일제 때에는 광선사숙과 2년제 동광간이학교가 세워졌다.
4.3사건은 이 마을을 피해가지 않았다. 폐촌 후 주민들은 도너리오름 앞쪽의 큰넓궤에 숨어드는 것을 시작으로 눈덮인 벌판을 헤매다 유명을 달리했다. 한 할머니는 그 후 맷돌을 갈 때마다 눈물을 흘리며 노래했다. “난 돼지집에서 숨언 살아수다. 살려줍서 살려줍서 허는 애기 놔두고 나만 혼자 살아나수다” (난 돼지집에 숨어서 살았습니다. 살려주세요 살려주세요 하는 자식 놔두고 나만 혼자 살아났습니다.) 4.3으로 무등이왓(130호)에서 약 100명, 삼밭구석(46호)에서 약 50명, 조수궤(6호)에서 6명이 희생됐다.
인가가 자리했을 대숲을 지나 아이들이 뛰어 나올 듯한 올랫길을 걸어보라. 시신 없는 헛묘도 찾아보고 유일하게 복구된 간장리 마을을 지나 큰넓궤로 발길을 돌려보라. 평화를 기원하는 외침이 들려올 것이다. 다시는 이 땅에 4.3사건과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기를 간절히 기원하며 이 표석을 세운다.
사실은 조금 아쉽습니다. 이 표석의 내용만을 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기가 쉽지 않으니까요. 마을 주민들이 희생되었던 이야기도 많이 줄여 쓴 점도 그렇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적당히 적어서 넘어 가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은 왜일까요?
짙은 5월의 푸르름
60년 전의 이 마을은 어땠을까요? 이처럼 푸른 하늘아래 보리가 익어가고 있었을 겁니다. 4.3이 터졌지만 아직은 초토화작전이 시작되기 전이였으니, 마을사람들이 모여 보리를 수확하고 있었을 겁니다. 앞으로 어떠한 일이 닥칠지 알 수는 없지만, 익어가는 보리를 보며 희망을 안고 있었을 겁니다.
초토화작전
이전에도 여러 일들이 있었겠지만, 본격적인 탄압은 1948년 11월 15일부터입니다.
“해안선에서 5km이상 들어간 마을 주민들은 모두 해안 마을로 내려와라. 남아있는 사람들은 모두 폭도로 간주하겠다.”
초토화작전에 앞선 소개령이 당시의 상황에서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웠을 겁니다. 이 상황에서 마을 유지 10명이 이유 없이 학살됩니다. 그 후 토벌대가 여러 차례 마을로 올라왔지만 피해다닐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해안마을로 내려간다고 해도 이미 ‘도피자 가족’이였기 때문에 산다는 보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러던 와중 12월 12일, 잠복해 있던 토벌대가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몰래 마을로 돌아온 사람들을 붙잡아 산 채로 화장시킨 학살극이 벌어 집니다.
이렇게 이 마을 주민들의 희생은 커져만 갑니다.
[사진] 대나무 숲이 이 곳에 마을이 있었음을 알려줍니다. 가도 가도 끝없을 것 같은 이 대나무 숲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살았었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는지를 새삼 일깨워 줍니다.
이 곳에 살던 주민들은 이 후로 더욱 힘겨워집니다. 인근에 ‘큰넓궤’라는 자연 동굴이 있습니다. 해안마을로 갈 수도 마을로 돌아올 수도 없었던 마을 사람들이 숨을 수 있는 피난처였습니다. 이 동굴에서 많을 때는 120여명이 60일 정도를 살았다고 합니다. 상황이 좋아지기만을 손꼽아 기다렸건만 그들을 기다리는 것은 또다시 토벌대였습니다.
[사진] 분명 이 곳에는 집이 있었을 겁니다. 눈 앞에 그려지시는 지요? 초가집이 앞에서 보리를 타작하는 어른들과 주위를 뛰어 다니며 노는 아이들을…
토벌대에게 발각된 이상 큰넓궤에 머물수는 없었습니다.
결국 한 겨울 추위가 문제이긴 하지만 더 깊은 한라산으로 숨어 들어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거기다 눈위에 남는 발자국 때문에 토벌대에게 발각되기는 너무나 쉽게 되어 버렸습니다. 결국 1949년 1월에 토벌대에 잡혀 서귀포 정방폭포 등에서 죄없이 학살되고 맙니다.
[사진] 어느 집으로 통하는 올레(골목)이였을 겁니다. 이 길을 따라 들어가면 초가집에서 누군가 마중을 나와 반갑게 맞아 주실 것 같습니다. 4.3이 우리 역사에 없었다면… 이 길의 운명도 달라 졌을 겁니다.
다른 곳이지만 시작된 이야기이니 조금 더 해볼까 합니다. 지금은 동양에서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로는 가장 높고, 아름답기로 유명한 서귀포 ‘정방폭포’가 4.3당시에는 최대의 학살터였습니다.
극단의 아름다움과 극단 폭력의 만남. 아이러니하게도 역사에는 이런 만남이 적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어렸을 때에는 밤에 정방폭포에 가지 말라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었죠. 억울하게 죽은 혼이 너무 많은 곳이기에 그랬던 모양입니다.
이 아름다움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이 곳 또한 극단의 아름다움과 극단 폭력이 만났던 현장인가 봅니다.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슬픈 역사를 다시금 되새겨 봅니다.
글 내용 중 일부는 "제주역사기행"을 참조했습니다.
'제주 > 제주4.3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타 사라져 잃어버린 마을, 다랑쉬 마을 (0) | 2010.04.04 |
---|---|
도민의 기억속에서 지우고자 했던 4.3유적, 다랑쉬 굴 사건 (2) | 2010.04.04 |
4.3사건의 전개 - 3. 경찰의 발포와 4.3발발 (0) | 2009.06.11 |
4.3사건의 전개 - 2. 자치에 대한 열망 (0) | 2009.06.11 |
4.3사건의 전개 - 1. 일본의 요새가 된 제주와 패망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