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제주4.3사건

불타 사라져 잃어버린 마을, 다랑쉬 마을

k2man 2010. 4. 4. 01:34
반응형

제주4.3사건 진압과정 중 초토화작전으로 불타고 복구되지 못한 마을을 ‘잃어버린 마을’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런 잃어버린 마을이 4.3보고서에는 83개나 있다고 합니다. (130개라고 적고 있는 자료도 있습니다.)

초토화작전 당시 해안선에서 5km 이상의 중산간 마을들은 모두 소개되어 불타 사라졌는데, 4.3 진압 이 후 복구된 마을도 많지만 아예 복구되지 못한 마을도 많습니다. 다랑쉬마을은 복구되지 못한 잃어버린 마을입니다.

 

위치

경도  126 : 49 : 42
위도  33 : 28 : 1

아름다운 다랑쉬오름(월랑봉) 탐방로 입구에서 서쪽으로 약 100m 지점에 있습니다. 제주 동부 오름과 해안의 아름다움을 조망할 수 있고, 화산의 신비를 간직한 다랑쉬오름은 이제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 곳입니다. 바로 인근에 용눈이오름이나 아부오름 등이 있어 이 인근을 함께 둘러보는 것도 좋습니다.

 

잃어버린 마을, 다랑쉬 마을

제주 동부에서 가장 가파른 다랑쉬오름(월랑봉) 아래에 있던 마을로, 10여개 가호와 40여명의 주민이 살았다고 합니다. 다행히 모두 해안마을로 피신해 인명 피해는 없었다고 합니다.

 

  
[사진] 인근 아부오름에서 바라 본 다랑쉬오름

 

 

이 마을터에는 입구에 나무로 된 비목이 서있습니다. 지금은 글씨가 많이 흐려져 사진으로 잘 보이지는 않지만 ‘다랑쉬마을’이라는 글자가 선명히 남아 있습니다. 이 작은 비목이 언제부터 여기에 서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오래전부터 이 곳에 서 있던 것은 분명합니다. 다행히 이 비목만큼은 훼손되지 않았습니다. 4.3관련 유적들이 우익단체들에 의해서 훼손되어 왔던 일들이 왕왕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곳에는 마을의 중심이였을 팽나무와 표석이 그 흔적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현재도 이 주변에는 대나무가 많이 자라고 연못터 등이 남아 있어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다랑쉬굴

잃어버린 마을 중 ‘다랑쉬 마을’이 더 유명(?)하게 된 것은 마을자체 보다도 ‘다랑쉬 굴’사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인근에 있는 ‘다랑쉬 굴’에서 1992년 4.3당시 희생된 것으로 보이는 유골 11구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안타깝게도 유족의 바램과 달리 그 유골들은 모두 화장되었고, 다랑쉬 굴의 입구는 큰 바위로 굳게 막혀 있어서 굴의 흔적조차 찾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4.3이 아직도 진행중이라는 것도 어찌보면 이를 보고 말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다랑쉬 마을 표석 전문

잃어버린 마을 – 다랑쉬-

  여기는 1948년 11월 경 4.3사건으로 마을이 전소되어 잃어버린 북제주군 구좌읍 다랑쉬 마을터이다. 다랑쉬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마을의 북사면을 차지하고 앉아 하늬바람을 막아주는 다랑쉬오름(월랑봉, 높이 392m)의 분화구가 마치 달처럼 둥글게 보인다 하여 다랑쉬라 붙여졌다는 설이 가장 정겹다. 주민들은 산디(밭벼) 피, 메밀, 조 등을 일구거나 우마를 키우며 살았다. 소개되어 폐촌될 무렵 이 곳에는 10여 가호 40여 명의 주민이 살았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 지금도 팽나무를 중심으로 연못터가 여러 군데 남아 있고 집터 주변에는 대나무들이 무더기져 자라 당시 인가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한편 이 마을은 1992년 4월 팽나무에서 동남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위치한 다랑쉬 굴에서 11구의 시신이 발굴되면서 도민들에게 4.3의 아픔을 다시 한번 새겨주었다. 당시 시신 중에는 아이 1명과 여성 3명도 포함되어 있었다. 증언에 의하면 이들의 4.3의 참화를 피해 숨어 다니던 부근 해안마을 사람들로 1049년 12월 18일 희생되었다. 지금도 그들이 사용했던 솥, 항아리, 사발 등 생활도구들은 굴속에 그대로 남아 있다.

  다시는 이 땅에 4.3사건과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며 이 표석을 세운다.

2001년 4월 3일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상자명예회복실무위원회 위원장
제주도지사

반응형